오후 네시에 네가 온다면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싫어요! 싫어! 싫어쟁이 우리아이 대처법은? 본문

육아정보

싫어요! 싫어! 싫어쟁이 우리아이 대처법은?

블랙미르 2021. 11. 5. 07:10
반응형

싫어쟁이아이

 

싫어쟁이 우리아이 대처법은?



예쁜 말만 하던 우리아이, 뭘해도 이뿌기만 하던 우리아이가 언제부턴가 싫어요! 싫어 ! 싫어쟁이가 됐다면 참 당황스러워집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1년6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부정문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그 사용 빈도가 점점 증가합단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연한 요구를 무조건 거부하거나 반항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면 그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히 지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무조건 싫다고 하는 원인으로는?



첫째  열등감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거에 열등감을 강하게 느낀 아이는 부모가 뭔가를 시킬때 '또 못할 것이다.' 라는 생각에 거부하기도 합니다.

둘째  아이의 욕구 불만이 많을 때입니다.
부모로부터 지나친 요구를 받거나 그 요구에 대해 자기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무시당할때 아이는 "싫어" 하며 거부하게 됩니다.

셋째  사랑이 결핍되었을 경우에도 아이는 무조건 거부할 수 있습니다.
엄마 마음을 불편하게 하여 자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심리입니다.


 

 

이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


첫째, 아이의 능력 그자체를  인정해 주세요.
아이가 잘 하는 것을 격력해 주고 자신감을 갖게 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둘째, 둘째 무리한  요구는 하지 마세요.
아이들 수준에서 할 수 있는 것과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것부터 하게 하세요.

셋째, 이해와 사랑으로 대해 주세요.
이는 특히 부정적인 행동과 감정을 보이는 아이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왜 싫은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는 것을 알려주며, 부모가 요구하는 바를 인내와 사랑으로 설득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정화교수의 성장 발달 클리닉 中에서---

 

 


 

 

아이가 어릴적엔 개월수 마다 난관에 봉착하고,  힘듦의 연속이였지만, 그맘때 아이들이 줬던 행복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앙증맞은 입으로 엄마 아빠 한테 뽀뽀 쪽~ 해 주면 그날 하루 고단함이 싹 풀렸던 기억은 부모라면 누구나 경험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학년이 올라 갈수록  점점 또래들과의 관계가 중요해지고, 반면 부모와는 조금씩 틈이 생길거 같아 벌써 부터 걱정입니다 ㅠ  앞으로 닥쳐올 시련이 지금까지 겪었던거 보다 더 많겠지만, 아이가 잘 이겨나가고 사회의 훌륭한 구성원으로서 자라주길 부모로써 잘 뒷받침 해줘야 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