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시에 네가 온다면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유아 경제교육 아이눈높이에 맞게 해요. 본문

육아정보

유아 경제교육 아이눈높이에 맞게 해요.

블랙미르 2021. 11. 4. 07:10
반응형

 

유아 경제교육 아이눈높이에 맞게

어제 어린이 경제교육에  이어 오늘은 유아 경제교육에 대해서도 알아 볼까 합니다!

출.처는 호비 4단계 자람입니다.

 


저희 어릴때만 해도 따로 경제교육을 시키시거나 하시진 않았잖아요.

부모님 말씀으론 전 돈을 주는대로 모으는 스타일이였고, 오빠나 동생은 다쓰고 제 돈을 탐냈다고 하더라구요 ㅎ

지금도 어릴때 그 습관이 남아서 그런지, 없는돈을 땡겨 쓴다거나 낭비를 한다거나 그런건 없습니다.

제 경제 사정 內 에서 최대한 소비를 줄이고 저금을 하는 스타일입니다.

없으면 안쓰고 있으면 저금하고 ㅎㅎ 어찌보면 이게 당연한건데....

요즘 젊은사람들 중에서 카.드 믿고 흥청망청 쓰다가 20대에 신.용.불.량.자가 되는 경우가 심심찮게 보여서 안타깝더라구요. 그래서 유아부터 제대로 된 경제교육이 정말 중요한거 같습니다.

인생 한번이다! 현재를 즐기자~ 욜로족!! 이라는 말들도 많지만, 아이를 낳아 키우고, 가정생활을 하다보니

그런 말을 들으면 '그래,, 어짜피 인생 한번인데 즐겨 볼까?' 하다가도 전 안되더라구요 ㅎㅎ

아이도 키워야하고 노후도 걱정해야 하니 어느정도 계획된 생활이 필요합니다.

자~ 우리 아이 유아 경제 교육 어떻게 시작 하면 될까요?

 

어릴적에 아이가 돈을 일찍 아는걸 터부시 하거나 싫어하시는 어르신들이 많지요.

저도, 아이가 세배하고 세배돈 달라고 하는거 보면 어린게 벌써 부터 돈을 밝히나, 이런 생각을 했더랬죠 ㅎ

그런데, 어린시절 꿈 만큼이나 중요한게 돈, 경제교육이더라구요.

경제교육은 유아때부터 생활 속에서 차근 차근 익혀 주는게 중요합니다.

아이가 경제교육으로 인내심과 자기 절제를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아이 자신의 행동을 통제 하는 것이며, 경제 교육을 통해 익힐 수 있는 덕목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꿈을 키워야지 무슨 경제 교육이냐고 하겠지만,

아이의 경제교육은 아이의 꿈을 펼치며, 삶을 살아가는데 꼭 필요합니다.

어려서 부터 돈의 가치와 기능을 제대로 이해 해야 어른이 되서도 올바른 경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돈의 가치와 소비 생활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바른 경제 관념과 습관을 들이기 어렵다고 합니다.

 

 

유아 경제 교육의 포인트

감정은 받아 주되, 행동은 통제할것.

-마.트에 갔는데 아이가 장난감을 사달라고 울고 불고 조르는 경우가 많아서 당혹스러운 경험이 많을 꺼라 생각합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사달라고 조를때 보통은 "지난주에도 샀는데 또 사 달라고?" " 이걸 왜 또 사달라고해" "집에 비슷한 장간감 있잖아" 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말들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는 말이며 설득력이 없습니다.

이때는 먼저 아이의 감정을 받아주어야합니다.

"참 멋있어 보인다. 이게 갖고싶니?" 라고 감정을 받아 주면 사주지 않더라도 아이의 마음이 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다음 단계는 통제로  "갖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사 줄 수는 없어." 라고 말하며 이유도 함께 말해 주세요.

"오늘은 저녁 반찬을 사러 왔거든, 장난감은 한 달에 하나만 사기로 약속했지?" 더 싸게 파는 곳이 있는지 알아보고 , 제일 싼 데서 사자.

사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소비를 조절하도록 가르치는것.

사고 싶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살 수는 없다는것을 알려주세요.

소비를 통제해서 수입보다 적게 쓰는습관을 지니도록 하고 사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필요한것만 사도록 하는 것이 경제 교육의 중요한 포인트라고 합니다.

한계를 설정하고 자유로운 선택권을 주는것

아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힘을 길러 주게 하려면 한계(약속)설정해 주고 그 안에서 자유로게 선택하게 한다는 원칙을 세워 실행하면 됩니다.

-장난감은 한달에 한번사기, 과자는 이틀에 한번먹기, 등등

아이에게 자유로운 선택을 하더라도 바로 현명한 선택을 하지는 못합니다.

즉, 다른장간감으로 살걸 하고 후회 하는일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어른들도 물건을 사고 후회를 하는일이 종종 있듯이 아이들도 처음부터 현명한 선택을 할거란건 무리가 있죠.

선택의 자유는 실패의 자유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선택을 하고 후회하는 과정 속에서 아이는 조금씩 현명한 선택을 하는 방법을 배워 나가게 됩니다.

 

 

 생활 속 올바른 경제 습관 키우기

시장이나 은행은 아이에게 경제 교육을 시키기에 좋은 장소 입니다.

시장에서 무엇을 샀고 왜 샀는지 이야기 해주고 은행에서 어떤일을 하는지 알려주면 자연스레 아이의 경제 감각이 자라게 됩니다.

아이 스스로 물건 선택하게 해주기

부모님이 골라주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물건을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아이가 물건을 골랐을때 정말 원하는지 물어보고 그것을 산 후에는 다른것을 사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 시켜 주시면

자신에게 꼭 필요한 물건이 무엇인지 신중하게 생각하고 고르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답니다.

꼭 사지 않아도 원하는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기

보고 싶은 책이 있다고 무조건 사는게 아니고 도선관에서 빌려 보거나 이웃끼리 물건을 물려받거나 빌려서 사용할 수 있다는것을 알려주세요. 물건이란 여럿이 함께 사용 할수 있으며 빌린것은 꼭 다시 돌려줘야 한다는 것도 설명해주세요.

가격에 대한 인식 시켜주기

아이가 갖고 싶어하는 장난감이 있으면 그 가격이 어느정도 되는지 알려주세요.

아직 아이가 잘 모른다면 "00이가 좋아하는 아이스크림10개를 살 수 있는 돈이야" 라고 물건값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면 좋습니다.

푼돈의 가치 알려주기

아이는 몇백 원을 가지고 있어도 아주 많은 돈을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그거 가지고는 아무것도 못사" 라고 이야기 하는게 아니라 "이렇게 많이 모았어?"

장난감을 사려면 조금만 더 모으면 되겠다."

라고 이야기해주면 아이가 작은 돈도 소중하게 생각하게 되겠죠.

 

 


오늘은 유아 경제교육을 언제 어떤식으로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생활속에서 가르치는 교육이 아이의 올바른 경제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 바른 경제습관을 형성시킬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