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시에 네가 온다면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용돈으로 시작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본문

육아정보

용돈으로 시작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블랙미르 2021. 11. 3. 09:39
반응형

용돈으로 시작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저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초등 1학년 아이에게 아직 용돈을 주고 있지 않습니다.

아이가 돈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사야하는건 아는 나이이고, 돈 계산도 서툴지만 가능한 나이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자기돈을 모아 필요한거나 먹고싶은걸 사야지 하는 마음이 없는듯 합니다.

사실 돈에 대한 개념을 어느정도 이해를 하면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 시기 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것은 돈과 친숙하게 하고 , 돈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을 익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경험은 이후 본격적인 어린이 경제교육 중 용돈 교육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일정한 용돈을 주는 것은 한계를 설정하는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용돈은 어린이 경제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용돈을 주면 아이는 점차 소비를 위한 예산을 세우게 되고, 저축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으며, 돈을 잘못 사용했을 경우 어떤 문제가 일어나는지 등을 체험하는 기회를 얻을수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알뜰한 용돈 사용 습관이 어른이 되었을때 경제적 자립의 토대가 되며, 아이에게 용돈을 주고 규모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일이며, 아이의 평생 경제생활을 좌우하는 풀뿌리 경제교육이됩니다.

용돈을 통해 가르쳐야 할것!!

용돈은 스스로 잘 간수해야 하는것!

-아이가 세뱃돈을 받거나 어르신들께 받은 돈을 아무 데나 두고 잃어버리고 찾아 달라고 우는 일이 종종 있어요.

이럴때는 아이에게 예쁜지갑이나 저금통을 마련해줘서 용돈이나 돈이 생겼을때 바로 보관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러면, 돈을 잃어버리는걸 방지하고 돈을 잘 간수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줍니다.

돈은 모으면 큰돈이 된다는것!

-아이들이 저금통에 돈을 모으다 보면 나중엔 꽤 많은 돈이 모이게 됩니다.

꽤 비싼 장난감을 살 수 있을만큼 말이지요.

적은용돈이지만 모으다 보면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저축의 기본 원리를 배우게 됩니다.

돈을 쓰면 줄어든다는것!

-아이들은 돈을 쓴 만큼 줄어들거나 없어진다는 감각이 없다고 합니다.

마트나, 시장을 가면 아이 용돈으로 물건을 사게 해서 용돈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면

다른 물건을 살 수 없다는것을 자연스럽게 알게 해 주세요.

용돈으로 모든것을 다 살 수 있는것은 아니라는것을 알게 됩니다.

꼭! 지켜야할 용돈 교육의 원칙

​-아이에게 용돈을 줄때는 아이가 원할때 마다 주는게 아니라 원칙에 맞게 용돈을 줘야합니다.

용돈은 정기적으로 일정한금액을 줍니다.

-회사에서 정기적으로 월급이 들어와야 소비를 위한 예산을 미리 세우듯이, 아이에게도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어야합니다.

용돈으로 사기엔 비싼 장간남이 있으면 계획적으로 돈을 모아야하고 또 용돈을 마구 쓰면 한동안 아무것도 사지 못하고 참아야 한다는것도 알게 됩니다.

용돈은 조금 부족하듯이

-용돈을 풍족하게 준다면 아무런 교육효과가 없겠죠?

용돈은 약간 부족하듯이 줘야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알뜰하게 아껴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용돈으로 저축하는 경험

-용돈을 준다면 웬만한 물건은 용돈으로 사도록해야합니다.

간혹 아이가 비싼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쓰면 20%룰을 적용하면 경제 교육 효과도 있고 부모도 편해집니다.

20%룰은 아이가 물건 값의 20%를 모으고 부모가 80%를 보조해 준다는 원칙입니다.

이 원칙대로 하면 아이가 원하는 물건을 사기 위해서 먹고 싶은것, 사고 싶은것이 있어도 참고 용돈을 아끼고 모아야 하기 때문에 아이에게 자기 절제와 인내심을 길러 줄 수 있습니다.

-아이챌린지 자람에 나온 이야기를 정리 해 봤습니다.-

 


 

어릴때부터 용돈을 주면서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심어 줘야 돈을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사용 할 수 있고, 아끼고 저축도 할 줄 아는 건강한 아이로 자잘거라 생각 합니다.

저도 이제 위 내용을 잘 참고해서  어린이 경제교육을 시작 해 봐야 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