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시에 네가 온다면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용돈으로 시작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본문
용돈으로 시작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저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초등 1학년 아이에게 아직 용돈을 주고 있지 않습니다.
아이가 돈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사야하는건 아는 나이이고, 돈 계산도 서툴지만 가능한 나이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자기돈을 모아 필요한거나 먹고싶은걸 사야지 하는 마음이 없는듯 합니다.
사실 돈에 대한 개념을 어느정도 이해를 하면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 시기 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것은 돈과 친숙하게 하고 , 돈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을 익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경험은 이후 본격적인 어린이 경제교육 중 용돈 교육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일정한 용돈을 주는 것은 한계를 설정하는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용돈은 어린이 경제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용돈을 주면 아이는 점차 소비를 위한 예산을 세우게 되고, 저축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으며, 돈을 잘못 사용했을 경우 어떤 문제가 일어나는지 등을 체험하는 기회를 얻을수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알뜰한 용돈 사용 습관이 어른이 되었을때 경제적 자립의 토대가 되며, 아이에게 용돈을 주고 규모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일이며, 아이의 평생 경제생활을 좌우하는 풀뿌리 경제교육이됩니다.
용돈을 통해 가르쳐야 할것!!
용돈은 스스로 잘 간수해야 하는것!
-아이가 세뱃돈을 받거나 어르신들께 받은 돈을 아무 데나 두고 잃어버리고 찾아 달라고 우는 일이 종종 있어요.
이럴때는 아이에게 예쁜지갑이나 저금통을 마련해줘서 용돈이나 돈이 생겼을때 바로 보관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러면, 돈을 잃어버리는걸 방지하고 돈을 잘 간수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줍니다.
돈은 모으면 큰돈이 된다는것!
-아이들이 저금통에 돈을 모으다 보면 나중엔 꽤 많은 돈이 모이게 됩니다.
꽤 비싼 장난감을 살 수 있을만큼 말이지요.
적은용돈이지만 모으다 보면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저축의 기본 원리를 배우게 됩니다.
돈을 쓰면 줄어든다는것!
-아이들은 돈을 쓴 만큼 줄어들거나 없어진다는 감각이 없다고 합니다.
마트나, 시장을 가면 아이 용돈으로 물건을 사게 해서 용돈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면
다른 물건을 살 수 없다는것을 자연스럽게 알게 해 주세요.
용돈으로 모든것을 다 살 수 있는것은 아니라는것을 알게 됩니다.
꼭! 지켜야할 용돈 교육의 원칙
-아이에게 용돈을 줄때는 아이가 원할때 마다 주는게 아니라 원칙에 맞게 용돈을 줘야합니다.
용돈은 정기적으로 일정한금액을 줍니다.
-회사에서 정기적으로 월급이 들어와야 소비를 위한 예산을 미리 세우듯이, 아이에게도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어야합니다.
용돈으로 사기엔 비싼 장간남이 있으면 계획적으로 돈을 모아야하고 또 용돈을 마구 쓰면 한동안 아무것도 사지 못하고 참아야 한다는것도 알게 됩니다.
용돈은 조금 부족하듯이
-용돈을 풍족하게 준다면 아무런 교육효과가 없겠죠?
용돈은 약간 부족하듯이 줘야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알뜰하게 아껴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용돈으로 저축하는 경험
-용돈을 준다면 웬만한 물건은 용돈으로 사도록해야합니다.
간혹 아이가 비싼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쓰면 20%룰을 적용하면 경제 교육 효과도 있고 부모도 편해집니다.
20%룰은 아이가 물건 값의 20%를 모으고 부모가 80%를 보조해 준다는 원칙입니다.
이 원칙대로 하면 아이가 원하는 물건을 사기 위해서 먹고 싶은것, 사고 싶은것이 있어도 참고 용돈을 아끼고 모아야 하기 때문에 아이에게 자기 절제와 인내심을 길러 줄 수 있습니다.
-아이챌린지 자람에 나온 이야기를 정리 해 봤습니다.-
어릴때부터 용돈을 주면서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심어 줘야 돈을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사용 할 수 있고, 아끼고 저축도 할 줄 아는 건강한 아이로 자잘거라 생각 합니다.
저도 이제 위 내용을 잘 참고해서 어린이 경제교육을 시작 해 봐야 겠습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줍음 많이 타는 아이 대처법 (0) | 2021.11.06 |
---|---|
싫어요! 싫어! 싫어쟁이 우리아이 대처법은? (2) | 2021.11.05 |
유아 경제교육 아이눈높이에 맞게 해요. (0) | 2021.11.04 |
경쟁심과 질투심 많은 아이 대처법 (0) | 2021.11.02 |
아토피 유발원인과 예방수칙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