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육아정보 (15)
오후 네시에 네가 온다면 세 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아이의 배변훈련 시기와 단계별 배변훈련 방법 (참고:임신.출산육아대백과) 보통 배변 훈련시작 시기는 18개월부터 24갤로 만2세에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가 배변훈련으로 받을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싶다면, 기간을 충분히 넉넉하게 잡는게 좋으며, 배변 훈련을 한결 쉽고 빠르게 마치고 싶다면 생후 24개월로 늦춰 잡으라고 권한답니다. ● 배변훈련 시작 시기 1. 아이가 혼자서도 걸을 수 있을때 즉 뇌신경이 충분히 성숙해서 근육을 제대로 통제할 수 있을때라고 합니다. 2. 소변 간격이 2시간 이상일 때 즉, 방광에 소변을 저장할 수 있고, 소변이 마려워도 아이가 어느정도 참을 수 있을때 배변훈련을 시작해야한다고 합니다 3. 아이가 배변 의사를 스스로 표현할 수 있을 때라고 합니다. ▶ 1단계는 변기..

편식하는 우리아이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갈수록, 내아이 어떻게 키울까? 고민도 많고, 현실로 부딪히는 어려움에 당황도 많이 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얼마전부터 육아에 대한 어려움들을 글뿌리 성장동화를 참고하여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고, 편식을 하는 우리아이에 대해 왜 그런지,올바른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3세정도가 되면 음식에 대한 기호가 생기기 시작하고 자신이 싫어하는 음식은 먹지 않으려고합니다. 물론 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저희 딸은 돌즈음부터 싫어하는음식 좋아하는 음식이 조금씩 생겼던거 같습니다. 편식이라 하더라도 양파는 싫어하는데 다른채소나 과일은 잘먹는다든지, 생선은 먹지 않는데 육류나 달걀은 잘 먹는다면 영양적으로 그리 문제가 되는 것은 ..

충치예방 ! 아이 충치관리! 아이가 6살 되기 직전에 어금니가 올라와서 깜짝 놀랬던 기억이 있습니다. 벌써 영구치가 올라오나 하고 놀라서 치.과에 달려갔던 기억이 나는데요. - 그당시 선생님께서 6세(만5세)에 어금니 영구치 올라오는거 빠르긴 하지만 정상범위라고 하셨어요.보통은 만6세에 어금니 영구치 올라온다고 합니다 저희 아이는 유치도 참 빨리 올라왔었는데, 역시나 이갈이도 빨리 하는편이였고, 영구치도 빨리 올라오더라구요. 아이들 치아는 어른들에 비해 충치가 잘생겨서 관리를 조금만 소홀해도 금방 충.치가 생기죠. 좀 늦게 올라오면 좋은데.. 영구치가 올라와서 치.과에 갔을때 선생님이 영구치는 다 올라오기전에도 충치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며 주의를 주셔서 나름 빡세게 관리를 해준다고 해줬는데, 다음 ..

아이가 울거나 떼를 쓸때 대처방법은? 아이를 키우면서 느끼는거지만 육아의 고충은 끝이 없는거 같아요. 그 시기 마다의 고비가 있고 힘듦이 있으니 말이예요. 요즘 자기 성에 차지 않거나 갖고 싶은게 있으면 먼저 떼부터 쓰고 울기부터하는 우리 아이, 정말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집이 아닌 공공장소에서 그러면 정말 대략난감;; 말그대로 멘붕이 옵니다. 오늘은 말로 표현하지 않고 울거나 떼를 쓰는 우리 아이들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글뿌리 성장발달동화 참고) 갓난아이는 우는것으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지만, 말을 할 줄 아는 아이가 우는 방법으로의사를 표현한다면 우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성에 차지 않거나 갖고 싶은게 있으면 울기부터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이가 ..

아이 수면습관을 잡아주세요. 아이가 어릴때 수면습관을 제대로 잡아 주지 못해 정말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거의 4~5살 까지 밤에 수시로 깨고 옆에 엄마를 찾아서 엄마도 덩달아 잠 못자고 팬더 얼굴로 지냈던 나날들이 생각이 납니다 . 주위에 아이가 잠 잘잔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답니다. 아이도 잠을 잘 자야 건강하게 잘 클텐데, 깊은 잠을 못자니 아이도 예민해지고 엄마도 예민해져서 육아가 더 힘들어 지게 됐던 원인이였던거 같습니다. 제 지인중에 아이 수면 습관을 100일전부터 잘 잡아서 거의 12시간을 통잠을 잘 수 있게 하더라구요. 아기때 부터 부모랑 따로 떨어져서 자는 습관을 잡아 주고,한번 자면 통잠을 쭈욱 자니 엄마가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고 하더군요. 서론이 길었습니다..

아이 열내리는 방법 과 아기 열내리는데 효과 좋은 민간요법 베테랑 엄마들도 아이가 밤늦게 갑자기 열이 오르기 시작하면 정말 당황하게 되고,말그대로 맨붕이 됩니다. 특히나 첫 아이를 키우는 부모입장에서는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나게 됩니다. 아이가 열이나면 허둥지둥, 마음만 급해지는데요, 이럴때 미리 알아두면 유용한 팁입니다. ● 아이 열 내리는 방법 우선, 아기가 열이날때는 손으로 짚어보는게 아니라 정확하게 체온계로 측정해야한다고 합니다. 38도미만이면 미열 , 그보다 높으면 고열이라고합니다. ▶아이가 열이날때 열내리는 방법은? 1.보통 헐렁한 옷을 입혀주고, 아이의 손발을 따뜻하게 해줘야합니다. 보통 아이들이 열이날때 손발이 차가운 경우가 많은데,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손발을 비비거나 양말을 신겨주면 좋다고..

유아 물사마귀 없애는 방법 아이가 5~6살때쯤 물사마귀로 마음고생을 많이 했었습니다. 아이 목욕시키다 발견한 뾰루지 , 단순 뾰루지 인줄 알았는데 2~3개 번지는걸 보고, 유아 물사마귀인줄 알았어요. 알아 봤더니, 유아 물사마귀는 온 몸으로 순식간에 번진다는 무서운 소리도 있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지기도 한다는 말도 있더군요. 우선은 아이가 아/토/피로 늘 다니고 있는 병.원 선생님께 여쭤보고 바르는 연.고 처.방 받아서 한달정도 발라 봤답니다. 하지만 연.고는 효과가 없었어요. 그래서 더 번지기 전에 피.부.과로 갔답니다. 한/의/원도 많이 가던데,가격이 너무 사악하단 소리가 있더군요. 선생님께서 물사마귀는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고, 간지럽다고 긁게 되면 옆에 상처 입은 피부에 바로 감염이..

아이 코막힐때와 콧물나올때 효과만점 민간요법 아침저녁 기온차가 커지면서 주위에 감기 환자가 참 많더라구요 ㅠ 저희 아이 반에도 감기에 걸려서 학교에 안 나오는 아이가 하루에 서너명씩 된다고 하더군요. 저희딸은 어릴적부터 비염에 알러지까지 있어 요즘 같이 아침저녁으로 기온차가 클때는 백발백중 감기에 걸립니다. 이번에도 콧물 흘리고 목이 아프다고 하더니 열나고 코막힘이 시작 되더군요. 요즘은 감기증세만 있어도 학교에는 못 보내고, 꼭 코.로.나 검.사를 하고 음성 확인서와 함께 병.원 의사선생님 소.견.서를 지참해서 보내야 등교가 가능합니다. 참,, 학교에 보내는것도 쉽지 않더라구요 . 지금은 그래도 어느정도 커서 어디가 아프다, 어떻게 아프다, 코가 막히면 코도 스스로 풀수 있어서 어느정도 대처가 가능하지..

아이가 화가나면 소리지르고 때려요 아이가 어렸을적 화가나거나 자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소리지르고 엄마를 때렸던적이 있습니다. 그당시는 아이가 뭔가 스트레스가 쌓여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 엄마가 아이 맘을 잘 이해를 못해줘서 그런가 싶기도 해서 많이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ㅠ 오늘은 저희 아이처럼 화가나면 소리지르고 떼쓰고, 고집부리는 아이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글뿌리성장발달 클.리.닉 으로 알아볼게요:) 아이가 소리지르고 떼쓸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아이가 떼를쓰고,고집피우고, 소리지는건 의사표현의 한 방법이라고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고집부리고, 떼쓰고, 소리 지르기도 한다는 거죠. 첫째. 아이가 바람직하지 않는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할 때는 무시하는 것이 좋다..

수줍음 많이 타는 아이 대처법 우리 이웃님들 중에 저처럼 육아중이신 분들이 많으실텐데, 아이가 커 갈수록 단계별로 시련이? 닥쳐오지요 ㅠ 건강하게만 자라라~고는 하지만 ㅎㅎ 4~5살 자기 주관이 뚜렷해지면서, 뭐든 왜? 라고 따지고 , 싫으면 싫다고 떼쓰고, 맘에 안드는게 있으면 막무가내 울음을 터뜨리면 대략남감입니다 . 특히나 밖에서 그러면 부끄러워 죽겠고,, 이 상황을 어찌 해결하나 막막 할때가 많지요. 오늘은 아이 어릴적 읽어 준 책인데 괜찮은 책이 있어서 같이 공유해 볼까 합니다. 아이 사촌오빠한테 물려받은 책이라 년식은 좀 됐지만 ㅎㅎ 수줍음 많이 타는 아이에 대한 대처법들이 이야기로 잘 풀어져 있더라구요. 주위에 보면 정말 수줍음이 많아서 며칠이 지나도 곁을 주지 않는 아이가 더러 있더라구요...